×
Korean (KR)Korean (KR)
로드 트립

뉴스레터
웰컴 센터

캘리포니아 탐험하기


블루 옥스 밀웍스(Blue Ox Millworks)

블루 옥스 밀웍스(Blue Ox Millworks)

역사에서 사라질 뻔 했던 예술을 되살리고 있는 이 놀라운 장소를 방문해 보세요

에릭 홀렌벡(Eric Hollenbeck)씨는 처음부터 시간 여행자나 박물관 큐레이터, 취약 청소년과 사회에 복귀하는 참전 용사의 재기를 도와주는 모범적인 사람이 되려고 했던 사람은 아닙니다. 하지만 유레카(Eureka)에 본사를 둔 그의 회사  블루 옥스 밀웍스(Blue Ox Millworks)를 보면, 누구나 그가 그 회사를 나무를 자르는 목재소 이상의 기업으로 만들고자 조용하고 겸손하게 노력했다는 것을 엿볼 수 있습니다.

시설 내부 투어를 하다 보면 옛날 공구들을 사용해 정교하게 만든 나무 장식물이나 몰딩 작업에 몰두하는 장인들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작품들은 주문 제작으로 만들어지며, 개인 저택뿐 아니라 주지사 관저, 새크라멘토 다운타운에 위치한 릴랜드 스탠포드 맨션(Leland Stanford Mansion) 같은 웅장한 공공 건물 등 많은 빅토리아 양식의 건물들 일부를 복원 또는 재현하기 위해 쓰여집니다.

벌목 등 목재산업을 오래 이어온 해안 도시 유레카에서 자란 홀렌벡 씨는 "우리 회사에서 만드는 건축용 작품들은 당시에 사용되었던 기구들을 사용해 직접 만들기 때문에 조금씩 다른 모습으로 완성된다는 점이 가장 매력적인 특징입니다.”라고 말합니다. “이 곳에 오시면 1868년에 만들어진 곡선톱, 1902년에 만들어진 횡절톱 등 지금까지도 사용되고 있는 미국 최대의 수동 장비 컬렉션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새 기계를 살 여력이 없었던 그는 의도치 않게 박물관에나 있을법한 기계 컬렉션을 소장하게 되었습니다. 1973년 개업 당시, 베트남 전쟁에서 막 돌아온 홀렌벡씨에게 재산이라고는 300달러의 은행 융자금이 전부였습니다. 홀렌벡씨는 "벌목 회사를 시작했을 당시 병이 들었거나 이미 죽은 나무들을 목재로 가공해 산림청(Forest Service)에 납품했습니다."라고 회상합니다. 이 지역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빅토리아 양식 건물들은 특별히 맞춤 건축 및 제작을 원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홀렌벡씨는 블루 옥스(유명한 동화에 나오는 나무꾼 폴 버니언의 친구 황소의 이름을 딴 것)를 개업했습니다. 하지만 가진 것이라고는 융자금 300달러가 전부였던 그는 "아무도 원치 않는 오래된 고물을 주워다 쓸 수 밖에 없었고, 새 것이나, 심지어는 새 것 비슷한 장비를 살 시간도, 돈도 없었다"고 웃으며 말합니다.

인터넷이 나오기 이전 시대, 돈이 없었던 회사는 판매용 카탈로그를 외부 업체에 맡기는 대신 20세기 초에 제작된 인쇄기로 직접 인쇄하기도 했습니다. 빅토리아 시대의 타일을 원하는 고객들을 위해 도자기 공방을 설립했고, 시대적 디테일을 더하기 위한 회반죽 공방을 따로 설립했습니다.

오늘날, 이 목재소에서는 이런 제작 공정에 대해 배울 수 있는 투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곳을 돌아보다 보면 눈에 띄는 것이 하나 더 있는데, 다양한 작업 공구를 다루며 맞춤 제품들을 제작을 배우는 청소년들입니다. 블루 옥스 밀웍스는 사업 활동 외에 취약 청소년들을 위한 학교 역할도 하고 있으며, 이 청소년들이 제작한 제품들도 현지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홀렌벡씨는 "그들이 직접 제품을 만들고, 그 수익금도 본인에게 돌아갑니다"라고 설명하며, 사회에 환원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나타냅니다. 실제로 최근에 그는 사회에 복귀하는 참전 용사들을 돕기 위한 비영리 단체를 설립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블루 옥스를 거대한 공방 마을로 확대, 성장시키려는 계획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곳에서 일하는 참전 용사들은 이미 아브라함 링컨(Abraham Lincoln) 대통령의 관을 실었던 장례 마차를 정밀하게 복원하는 등, 놀라운 작품들을 창조해내고 있습니다. 홀렌벡씨는 "링컨은 미국이 참전 용사들을 책임지고 돌봐야 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언급한 대통령" 이라고 말하며, 이 장례 마차는 앞으로 모든 대통령의 장례 행렬에서 사용될 것이라 전달받았다고 덧붙였습니다. 홀렌벡씨는, "유레카 포덩크(Podunk)에서 참전 용사들 몇 명이 만든 작품입니다. 정말 대단하지 않나요?"라고 말하며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공식 자료